‘부산행’은 한국형 좀비 재난 영화로서 전례 없는 흥행을 기록하며, 장르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이다. 감염으로부터 탈출해야 하는 극한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기심과 희생, 그리고 가족을 위한 무조건적인 사랑까지, 다양한 감정선이 한 편의 열차 안에 응축되어 있다. 본 글에서는 영화 ‘부산행’이 단순한 좀비물이 아닌 인간 드라마로 확장된 이유와 그 감정적 깊이를 중심으로 풀어본다.
‘부산행’이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좀비가 아니라 인간이었다
2016년 개봉한 영화 ‘부산행’은 단순한 좀비 재난 영화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전대미문의 감염 사태 속에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달리는 고속열차 KTX 안이라는 제한된 공간을 무대로, 생존을 향한 극단의 선택과 본능, 그리고 인간다움의 경계가 교차하는 극적 서사를 보여준다. 감독 연상호는 이 영화를 통해 한국 사회의 민낯을 날카롭게 조명했다. 좀비라는 재난을 외부 위협으로 배치하면서, 진짜 공포가 외부가 아닌 인간 내부, 즉 이기심, 탐욕, 무책임, 그리고 구조적 무관심임을 드러낸다. 이 영화가 강렬한 이유는, 그 안에 등장하는 괴물이 단지 좀비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인공 석우(공유)는 바쁜 일상에 쫓겨 딸 수안(김수안)에게 제대로 된 아버지 역할을 하지 못한 인물이다. 이혼한 아내에게 딸을 보내기 위해 탑승한 부산행 열차에서 그는 상상할 수 없는 재난에 휘말리고, 그 속에서 점차 자신의 책임감과 인간성을 회복해 가는 여정을 시작한다. ‘부산행’은 단지 공포를 소비하는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가장 본능적인 감정두려움, 분노, 죄책감, 연민을 짧은 시간 안에 몰아치며, 관객이 스스로 묻게 만든다. “만약 나였다면, 나는 누구처럼 행동했을까?” 그 질문이야말로 이 영화가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다. 재난은 누구에게나 불시에 찾아온다. 하지만 그 순간 무엇을 선택하느냐는 각자의 몫이다. ‘부산행’은 그 선택의 순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 질문은 스크린이 꺼진 뒤에도 오래도록 가슴에 남는다.
‘부산행’ 속 캐릭터와 생존 윤리: 누가 괴물이고, 누가 인간인가
‘부산행’의 진짜 강점은 다채로운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긴장 구조에 있다. 단순히 좀비로부터 도망치는 영화가 아닌, 각 인물의 선택과 태도, 감정이 충돌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 안에서 우리는 누가 괴물인지, 누가 인간인지 끊임없이 판단하게 된다. 공유가 연기한 석우는 이기적인 펀드매니저로서 영화 초반에는 생존이 우선인 인물이다. 그는 남을 돕지 않고, 오히려 타인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한다. 하지만 점차 딸을 지키는 과정에서 인간다움을 회복해간다. 그는 마지막 순간, 자신의 생존을 포기하면서까지 딸을 살리는 아버지가 된다. 이 변화는 억지스럽지 않고, 우리가 평범한 인간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성장이다. 반면 가장 극적인 대립점에 있는 인물이 바로 연석호(김의성)다. 그는 대기업 중역으로, 철저히 자기중심적인 판단을 내린다. 그의 결정은 수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가지만, 그는 끝까지 자기 합리화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영화는 이 인물을 통해 ‘진짜 괴물은 누구인가’를 되묻는다. 마동석이 연기한 상화는 이 영화의 ‘영웅’이다. 임신한 아내 성경(정유미)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좀비와 싸우며, 어떤 순간에도 타인을 먼저 생각한다. 그는 힘이 세기 때문이 아니라, 마음이 따뜻하기에 강한 인물이다. 그의 죽음은 단순한 희생이 아니라, 관객의 죄책감과 감동을 동시에 끌어내는 장면이다. 아이들을 보호하는 야구부 학생들, 서로를 돕는 노부부, 그리고 마지막까지 자신의 어머니를 지키려 했던 청년들까지. 영화 속 모든 인물은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자기만의 윤리와 선택을 보여준다. 그 선택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는 영화가 판단하지 않는다. 관객 스스로가 느끼도록 만든다. ‘부산행’이 위대한 이유는, 그 속에 등장하는 좀비보다도 인간들이 더 무섭고, 동시에 더 감동적이라는 점에 있다. 재난은 인간성을 파괴하기도 하지만, 드러내기도 한다. 이 영화는 바로 그 경계선을 정교하게 포착해 낸다.
‘부산행’이 남긴 울림: 달리는 열차 안에서 드러난 인간의 본질
‘부산행’은 단순히 성공한 한국형 좀비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한국 사회의 집단성과 이기주의, 가족의 의미, 그리고 생존의 윤리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긴 작품이다. 열차라는 한정된 공간은 곧 사회의 축소판이다. 그 안에서 벌어지는 모든 갈등과 연대는, 현실 사회의 축소된 단면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인상 깊은 것은 영화의 결말이다. 석우가 감염된 후 딸을 향해 마지막으로 흘리는 눈물, 그리고 스스로 열차에서 몸을 던지는 장면은, 단지 감동적이기 이전에 무언의 사과와 속죄로 읽힌다. 그는 딸에게 더 이상 아버지일 수 없기에, 자신이 할 수 있는 마지막 사랑을 택한 것이다. 부산에 도착한 수안과 성경은 터널을 지나 빛을 향해 나아간다. 이 장면은 단지 생존의 의미를 넘어서, 희망과 미래에 대한 상징이다. 좀비가 창궐한 세상에서도 인간성은 여전히 존재하며, 그것이 바로 다음 세대가 나아갈 길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부산행’은 보기 드문 완성도 높은 장르영화이자, 사회적 드라마이며, 가족 영화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선택의 순간, 당신은 어떤 인간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있다. 이 질문은 단지 영화 속 주인공들만의 것이 아니다. 재난은 계속되고, 그 안에서 우리는 매일 선택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부산행’은 끝나지 않은 이야기**다.